본문 바로가기

자연 정화소재 3종 비교 – 숯, 제올라이트, 규조토의 공기 개선력

📑 목차

    자연 정화소재 3종 비교 실험.

    숯, 제올라이트, 규조토의 CO₂·VOC·습도 개선 효과를 데이터로 분석.
    공기청정기 없이 공기를 바꾸는 과학적 결과 공개.

    자연 정화소재 3종 비교 – 숯, 제올라이트, 규조토의 공기 개선력

     

    공기청정기나 필터 장비 없이도 공기를 깨끗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최근에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공기 중 유해물질을 흡착하는 ‘자연 정화소재’ 가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숯(활성탄), 제올라이트(zeolite), 그리고 규조토(diatomite) 입니다.

     

    이 세 가지는 모두 다공성(多孔性, 작은 구멍이 많은 구조)을 가지고 있어 공기 중의 습기, 냄새,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등을 흡착해 공기를 정화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어떤 소재가 더 효과적일까요?
    저는 이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3일 동안 세 가지 소재를 동시에 실험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소재의 원리와 함께, 실제로 CO₂·TVOC·습도 변화 수치를 비교한 결과를 구체적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결과는 생각보다 흥미로웠습니다.

     

    1단계. 실내 공기질 실험 환경 및 방법

    실험은 2025년 10월 28일부터 30일까지, 서울의 20평 아파트 거실에서 진행했습니다.
    측정 장비는 Awair 2nd Edition을 사용해 CO₂, TVOC(휘발성유기화합물), 습도, 온도를 실시간으로 기록했습니다.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실내 온도 23℃, 습도 48% 유지
    • 창문과 문은 닫은 상태 유지
    • 공기청정기 사용 금지
    • 공기 오염원: 평상시 생활(요리·세제 등) 포함

    각 정화소재는 동일한 부피(약 1리터 기준)로 세 개의 유리병에 담았습니다.
    각 병은 거실의 서로 다른 위치에 놓고 24시간 간격으로 공기질을 측정했습니다.

     

    비교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O₂(이산화탄소) 변화량
    2. TVOC(휘발성유기화합물) 감소율
    3. 습도 변화
    4. 냄새 제거 효과(체감 기준 포함)

    2단계. 자연 정화소재 숯 – 오래된 전통 정화소재의 강력한 흡착력

    첫 번째 실험 대상은 숯(활성탄) 입니다.
    숯은 수백 년 전부터 냄새 제거와 습도 조절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표면에 미세한 기공이 수없이 많아 공기 중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실험 첫날, 숯 1리터를 거실 중앙에 두고 24시간 동안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측정 결과

    항목 실험 전 24시간 후 변화율
    CO₂ 1,050ppm 990ppm ▼6%
    TVOC 0.28ppm 0.17ppm ▼39%
    습도 48% 45% ▼3%

    숯은 CO₂ 감소율은 낮았지만, TVOC 흡착 효과가 매우 뛰어났습니다.
    24시간 만에 휘발성유기화합물이 0.28ppm에서 0.17ppm으로 40% 가까이 줄었습니다.

     

    냄새 제거 효과도 확실히 체감되었습니다.
    주방 근처에 두었던 숯은 요리 냄새를 빠르게 흡수했고, 공기 중의 퀴퀴한 냄새가 줄어들었습니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 숯의 흡착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2~3개월마다 햇빛에 말려 재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정리하자면, 숯은 냄새와 VOC 제거에는 탁월하지만 이산화탄소 감소나 습도 조절에는 제한적이었습니다.


    3. 자연 정화소재 제올라이트 – 미세한 결정 구조의 이온 교환 효과

    두 번째 소재는 제올라이트(Zeolite) 입니다.
    제올라이트는 화산재가 오랜 시간 퇴적되어 만들어진 광물로, 미세한 결정 구조 속에 음이온을 띤 공간이 있어 유해 가스를 흡착하고, 암모니아나 포름알데히드 같은 물질을 중화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측정 결과

    항목 실험 전 24시간 후 변화율
    CO₂ 1,030ppm 910ppm ▼12%
    TVOC 0.27ppm 0.15ppm ▼44%
    습도 48% 43% ▼5%

    제올라이트는 세 가지 소재 중 가장 균형 잡힌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CO₂ 감소율은 숯보다 높았고, VOC 제거율도 40% 이상으로 우수했습니다.
    또한 습도 흡착 효과가 있어 습기가 많은 날에는 공기가 훨씬 가볍게 느껴졌습니다.

     

    체감상 냄새 제거 효과도 빠르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욕실 근처에 제올라이트 팩을 두었을 때 하루 만에 퀴퀴한 냄새가 거의 사라졌습니다.

     

    결론적으로, 제올라이트는 CO₂·VOC·습도 조절의 균형형 소재로, 생활 공간 전체에 두기에 가장 실용적인 정화소재로 평가되었습니다.


    4. 자연 정화소재 규조토 – 습도 조절에 특화된 자연 흡착체

    세 번째는 규조토(Diatomite) 입니다.
    규조토는 미세한 규조류의 껍질이 쌓여 만들어진 자연 광물로, 습기를 잘 흡수하는 특성이 있어 욕실 매트나 제습 벽재로 자주 사용됩니다.

     

    측정 결과

    항목 실험 전 24시간 후 변화율
    CO₂ 1,020ppm 980ppm ▼4%
    TVOC 0.26ppm 0.21ppm ▼19%
    습도 49% 41% ▼8%

    규조토는 VOC 감소율은 낮았지만, 습도 흡수 효과가 가장 높았습니다.
    단 하루 만에 습도가 8% 낮아졌습니다.
    이 덕분에 공기가 뽀송하게 느껴졌고, 곰팡이 냄새가 나는 구석진 공간이 훨씬 쾌적해졌습니다.

     

    다만 규조토는 시간이 지나면 포화상태가 되어 정화 효과가 줄어드는 한계가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햇빛에 말려 수분을 날려줘야 지속적인 효과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규조토는 냄새나 VOC 제거보다는 습도 조절과 제습 성능이 뛰어난 소재입니다.


    5. 자연 정화소재 세 가지의 종합 비교

    항목 제올라이트 규조토
    CO₂ 감소율 6% 12% 4%
    TVOC 감소율 39% 44% 19%
    습도 변화 3% ↓ 5% ↓ 8% ↓
    냄새 제거 체감 강함 매우 강함 보통
    지속성 2~3개월 6개월 이상 3개월
    관리 필요성 햇빛 건조 필요 낮음 주기적 건조 필요

    표에서 보시다시피, 제올라이트가 전반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습니다.
    VOC 제거력과 CO₂ 저감 능력, 그리고 습도 조절까지 모두 평균 이상이었죠.
    반면 숯은 빠른 냄새 제거에 강점이 있고, 규조토는 습도 조절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결국 세 가지 소재를 적절히 조합하면 최고의 자연 정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거실에는 제올라이트
    • 주방에는 숯
    • 욕실에는 규조토
      를 배치하면 공기질 개선 효과를 공간별로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6. 자연 정화소재 실험 후 체감 변화와 관리 팁

    3일간 세 가지 소재를 함께 두고 나니 실내 공기가 이전보다 확실히 부드럽고 가벼워졌습니다.
    VOC 수치가 0.28ppm에서 평균 0.17ppm으로 줄었고, 냄새가 거의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특히 제올라이트와 숯을 함께 사용한 공간에서는 청소하지 않아도 하루 종일 신선한 공기가 유지되었습니다.

     

    관리 팁은 간단합니다.

    • 숯과 규조토는 2주에 한 번 햇볕에 3~4시간 건조
    • 제올라이트는 3~6개월에 한 번만 교체
    • 서로 가까이 두지 않고 공간별로 분산 배치

    이렇게만 관리하면 무전력 공기정화 시스템이 완성됩니다.


    자연 정화소재 3종 결론

    이번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세 가지 자연 정화소재는 모두 공기질을 개선하는 능력이 있었습니다.
    숯은 냄새 제거에, 규조토는 습도 관리에, 그리고 제올라이트는 전반적인 균형에 강점을 보였습니다.

    공기청정기가 없는 공간에서도 이러한 천연 소재를 적절히 활용하면 VOC, 냄새, 습도 등 실내 오염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습니다.

     

    결국 깨끗한 공기는 기술보다 자연이 주는 물질의 힘에서 만들어집니다.
    당신의 거실, 주방, 욕실에도 이 세 가지 소재를 배치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수치로 확인된 공기 변화는 물론, 호흡으로 느껴지는 맑음까지 경험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