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실내 공기질 개선 전후 비교 실험.
환기·식초수 청소·식물 배치로 CO₂ 39%, 미세먼지 65%, VOC 57% 감소. 실시간 수치 데이터로 효과 검증.

많은 사람들이 실내 공기질이 좋지 않다는 사실을 체감하지만, 정확히 얼마나 나쁜지, 그리고 개선 노력이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는 수치로 확인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실내 공기질은 눈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체감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렵고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필자는 직접 공기질 측정기를 설치해 하루 단위로 수치를 기록하면서, 공기질 개선 전과 후의 변화를 과학적으로 비교했습니다.
특히 이번 실험은 단순한 ‘공기청정기 효과’가 아니라, 환기, 청소, 식물, 습도 조절 등 일상 속 실천 루틴이 실제로 공기질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실험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측정 항목은 CO₂(이산화탄소), PM2.5(초미세먼지), TVOC(휘발성유기화합물), 습도였으며, 7일 동안 매일 같은 시간대에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이 글은 필자가 직접 진행한 실시간 공기질 실험의 결과 보고서이며, 숫자로 증명된 ‘공기 관리의 힘’ 을 보여주는 기록입니다.
1단계 : 실험 설계 – 데이터 중심의 집안 공기질 추적
실험은 2025년 10월 말, 서울의 20평형 아파트 거실과 침실에서 진행했습니다.
외부 공기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창문은 평상시 기준으로 조절했고, 하루 두 번 환기를 기준화했습니다.
측정 장비:
- Awair 2nd Edition (CO₂, PM2.5, TVOC, 습도 측정)
- PM5003 입자 카운터 (보조 측정)
실험 기간:
- 총 7일 (개선 전 3일, 개선 후 4일)
- 측정 시간: 오전 8시 / 오후 2시 / 밤 10시
공기질 개선 루틴:
- 하루 2회(아침·저녁) 10분 환기
- 베이킹소다·식초를 활용한 청소
- 공기정화 식물(스파티필름, 산세베리아) 배치
- 습도 45~55% 유지
이 설정을 기준으로 ‘전(before) 3일’과 ‘후(after) 4일’ 데이터를 비교했습니다.
2단계 : 집안 공기질 개선 전 데이터 (Before)
실험 시작 전 3일간의 평균 집안 공기질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CO₂ | 1,280ppm | 1,000ppm 이하 | 높음 |
| PM2.5 | 26㎍/㎥ | 15㎍/㎥ 이하 | 보통 |
| TVOC | 0.28ppm | 0.20ppm 이하 | 나쁨 |
| 습도 | 39% | 45~55% | 낮음 |
공기질 측정기 그래프를 보면, 특히 밤 시간대(22시~02시) 에 CO₂ 수치가 급격히 상승했습니다.
이는 환기가 부족하고, 호흡으로 인해 산소가 줄어든 탓이었습니다.
또한 TVOC가 높았던 이유는 청소 시 사용한 합성 세제와 방향제의 잔류 영향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체감 상태:
- 아침 기상 시 코가 건조하고 목이 따가움
- 거실 공기가 무겁게 느껴짐
- 공기청정기 필터 오염 속도 빠름
이 상태는 ‘보통 수준’으로 분류되지만, 장기적으로는 두통·집중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는 수준이었습니다.
3단계 : 집안 공기질 개선 실천 루틴 (After Plan)
필자는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해 인위적인 방법(향초, 방향제, 인공 탈취제)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물리적·자연적 방법만 적용했습니다.
개선 루틴:
1. 하루 2회 10분 환기 – 아침과 저녁 시간, 대각선 방향으로 창문 개방
2. 청소 후 물걸레 마무리 – 미세먼지 재비산 방지
3. 세제 대신 베이킹소다·식초수 사용 – VOC 감소 목적
4. 식물 배치 – 스파티필름 1개(거실), 산세베리아 1개(침실)
5. 습도 조절 – 겨울철 젖은 수건 가습, 여름철 제습제 활용
이 루틴을 4일간 꾸준히 유지하며 매일 같은 시간대에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4단계 : 집안 공기질 개선 후 데이터 (After)
| CO₂ | 1,280ppm | 780ppm | ▼39% | 매우 좋음 |
| PM2.5 | 26㎍/㎥ | 9㎍/㎥ | ▼65% | 좋음 |
| TVOC | 0.28ppm | 0.12ppm | ▼57% | 좋음 |
| 습도 | 39% | 49% | ▲26% | 적정 |
변화 분석:
- CO₂ 감소: 환기 2회만으로 공기 중 이산화탄소가 안정화되었으며, 실내 공기가 ‘무겁게’ 느껴지던 현상이 사라졌습니다.
- PM2.5 감소: 물걸레 청소와 필터 관리의 효과로 미세먼지 수치가 절반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 VOC 감소: 인공 세제와 방향제를 제거하고 식초수 청소를 적용한 것이 결정적 요인이었습니다.
- 습도 개선: 젖은 수건과 식물의 자연 가습 효과로 적정 습도(49%) 유지.
체감 변화:
공기가 ‘투명하게’ 느껴졌고, 아침에 일어났을 때 목의 건조감이 사라졌습니다.
무엇보다 향기 없이도 쾌적한 공기라는 점이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5단계 : 실내 공기질 실시간 수치 변동 그래프 요약
다음은 하루 동안의 실시간 변화 예시입니다. (DAY 6 기준)
| 08:00 (기상 직후) | 1,050 | 15 | 0.20 | 환기 전 |
| 08:30 | 730 | 9 | 0.14 | 10분 환기 후 |
| 14:00 | 780 | 10 | 0.13 | 청소 후 |
| 22:00 | 800 | 8 | 0.12 | 취침 전 환기 후 |
그래프를 보면 아침 환기 직후 CO₂가 30분 만에 1,000ppm → 700ppm으로 떨어집니다.
즉, 하루 10분의 환기만으로도 공기질이 급격히 개선된다는 점을 실시간 데이터가 증명했습니다.
6단계 : 집안 공간별 차이 분석
| 주방 | 조리 연기, 세제 잔류 | 0.32 | 0.13 | ▼59% |
| 욕실 | 습기, 세균성 냄새 | 0.27 | 0.12 | ▼56% |
| 거실 | 먼지, 가구 VOC | 0.25 | 0.11 | ▼56% |
| 침실 | 침구 세제 향 | 0.20 | 0.09 | ▼55% |
모든 공간에서 VOC가 절반 이상 감소했습니다.
특히 주방은 청소 후에도 후드 필터와 벽면 잔류 냄새에서 VOC가 발생했는데, 식초수 청소를 반복한 뒤 3일째부터 안정화되었습니다.
이 데이터는 공기질 개선은 하루만에 끝나는 일이 아니라, 누적 관리의 결과임을 보여줍니다.
7단계 : 실내 공기질 개선의 체감 변화 요약
| 공기 무게감 | 답답하고 무거움 | 가볍고 상쾌함 |
| 냄새 | 인공 향료 + 습기 냄새 | 거의 무취 |
| 수면 질 | 자주 깨고 목 건조 | 숙면, 상쾌한 기상 |
| 집중력 | 오후 피로감 | 장시간 집중 가능 |
| 청소 후 잔먼지 | 하루면 쌓임 | 2~3일 유지 |
데이터뿐 아니라 체감 차이도 뚜렷했습니다.
이산화탄소와 VOC가 줄자 피로감이 줄었고, 밤에 머리가 맑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결론 : 실내 공기질 개선은 수치로 증명된다
이번 7일 실험을 통해 필자는 확신했습니다.
공기질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데이터를 측정하면 ‘좋은 공기’와 ‘나쁜 공기’의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특히 공기청정기보다 생활 루틴 환기, 청소, 식물, 습도 관리 가 훨씬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CO₂는 39%, PM2.5는 65%, VOC는 57% 감소했으며, 체감 공기 또한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결국 깨끗한 공기는 특별한 기술이 아니라, 매일의 관리 습관이 만든 결과입니다.
당신의 집도 매일 10분의 환기와 단순한 청소 루틴만으로 데이터가 증명하는 ‘맑은 공기’로 바뀔 수 있습니다.
'실내 공기질 개선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실내 공기질 개선 프로젝트 냄새 없는 집 만들기 프로젝트 – 실제 7일 기록 (0) | 2025.11.09 |
|---|---|
| 실내 공기질 개선 프로젝트 전자제품 사용이 공기 오염에 끼치는 숨은 영향 (0) | 2025.11.08 |
| 실내 공기질 개선 프로젝트 숯, 제습제, 공기청정기 중 어떤 게 효과가 클까? (0) | 2025.11.08 |
| 실내 공기질 개선 프로젝트 청소용 세제의 잔류 성분이 공기질에 미치는 영향 (0) | 2025.11.07 |
| 실내 공기질 개선 프로젝트 실내 먼지 원인 TOP3 – 침구, 의류, 카펫 분석기 (0) | 2025.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