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하루 한 번 청소만으로 CO₂·미세먼지·VOC 수치가 얼마나 달라질까?
실시간 데이터로 증명한 공기질 개선 루틴, 3일 만에 체감한 깨끗한 공기의 과학적 변화 기록.

많은 분들이 ‘청소’는 눈에 보이는 먼지나 정리 정돈을 위한 행위라고 생각하시죠?
하지만 실제로 청소는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는 가장 과학적인 습관이기도 합니다.
보이지 않는 미세먼지, 섬유 먼지, 세제 잔여물, 그리고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등은 매일 조금씩 우리 호흡기 속으로 들어와 피로감과 두통,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합니다.
그렇다면 하루 한 번의 청소만으로도 공기를 맑게 만들 수 있을까요?
저는 이 질문에 답을 얻기 위해 3일간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청소 전후의 실내 공기질’을 실시간 수치로 측정하여, 하루 한 번의 청소가 실제로 공기질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데이터를 통해 확인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 과정을 세부 수치와 함께 보여드리며, 여러분의 집에서도 바로 실천할 수 있는 ‘공기 맑아지는 청소 루틴’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단계. 실내 공기질 실험 환경 및 측정 기준
실험은 2025년 10월 마지막 주, 서울의 18평 아파트 거실에서 진행했습니다.
측정 장비는 Awair 2nd Edition으로, CO₂, PM2.5, TVOC, 습도를 자동 기록했습니다.
모든 수치는 평균값이 아닌 ‘실시간 변화 데이터’를 기준으로 비교했습니다.
실험 전 조건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창문은 닫은 상태 유지
- 공기청정기 OFF
- 활동 인원: 성인 2명
- 청소하지 않은 상태로 24시간 경과
측정 항목 및 권장 기준
- CO₂(이산화탄소): 1,000ppm 이하
- PM2.5(초미세먼지): 15㎍/㎥ 이하
- TVOC(휘발성유기화합물): 0.20ppm 이하
이 세 가지를 기준으로 청소 전후의 변화를 관찰했습니다.
2단계. 실내 청소 전 상태 – 보이지 않던 오염의 실체
하루 동안 청소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첫 측정 결과는 생각보다 좋지 않았습니다.
| 항목 | 측정값 | 권장기준 | 평가 |
| CO₂ | 1,180ppm | < 1,000ppm | 다소 높음 |
| PM2.5 | 27㎍/㎥ | < 15㎍/㎥ | 높음 |
| TVOC | 0.29ppm | < 0.20ppm | 나쁨 |
PM2.5 수치가 기준의 약 두 배였고, VOC 역시 높았습니다.
공기질 측정기 그래프를 보니 사람이 많이 오가는 오후 시간대에 먼지와 VOC가 동시에 급상승하는 패턴이 보였습니다.
공기가 흐릿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단순한 기분이 아니라, 수치로 증명되는 ‘공기 오염’이었습니다.
특히 TVOC가 높게 나타난 것은 주방 조리와 세제 사용 후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은 탓이었습니다
.
이 상태에서 저는 하루 한 번 청소 루틴을 적용해 변화를 관찰했습니다.
3단계. 실내 청소 루틴 설계 –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만드는 순서
공기질 개선을 목표로 한 청소 루틴은 단순하지만 체계적이어야 합니다.
다음 세 단계를 하루 한 번만 실천했습니다.
- 먼지 제거 단계 (건식)
진공청소기와 먼지털이를 이용해 눈에 보이는 먼지를 제거했습니다.
카펫, 소파 밑, TV 주변 등 공기순환이 잘 되지 않는 곳이 중심이었습니다. - 물걸레 단계 (습식)
마른 먼지가 떠다니지 않도록 물걸레질을 진행했습니다.
청소용 세제는 사용하지 않고, 물 1L에 식초 3스푼을 섞은 ‘자연식 청소수’를 사용했습니다. - 환기 단계
청소가 끝난 후 창문을 10분간 열고 선풍기로 대각선 방향의 공기 흐름을 만들었습니다.
청소 중 날아오른 미세먼지와 VOC를 제거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이렇게 하루에 한 번, 약 30분 정도의 청소 루틴만 적용했습니다.
4단계. 실내 청소 직후의 변화 – 수치가 보여준 공기의 회복
청소 후 1시간 동안 측정한 공기질 수치는 놀라울 만큼 달라졌습니다.
| 항목 | 청소 전 | 청소 후 | 변화율 |
| CO₂ | 1,180ppm | 860ppm | ▼27% |
| PM2.5 | 27㎍/㎥ | 11㎍/㎥ | ▼59% |
| TVOC | 0.29ppm | 0.16ppm | ▼45% |
단 하루의 청소만으로도 PM2.5가 절반 이하로 감소했습니다.
물걸레질과 환기 덕분에 공기 중 떠다니던 먼지가 빠르게 사라졌고, VOC도 0.2ppm 이하로 안정되었습니다.
청소 후에는 실내 공기가 확실히 가벼워졌습니다.
CO₂ 수치가 낮아진 이유는 환기로 인해 신선한 공기가 순환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식초수가 VOC를 중화하면서 공기 중 냄새도 크게 줄었습니다.
5단계. 3일간의 평균 데이터 비교
실험을 3일간 반복하며 ‘하루 청소 루틴’의 지속 효과를 관찰했습니다.
| 날짜 | CO₂ 평균(ppm) | PM2.5 평균(㎍/㎥) | TVOC 평균(ppm) | 총평 |
| 1일차 (청소 전) | 1,180 | 27 | 0.29 | 공기 무겁고 답답함 |
| 2일차 (첫 청소) | 910 | 13 | 0.18 | 개선 체감 뚜렷 |
| 3일차 (지속 루틴) | 780 | 9 | 0.15 | 맑고 쾌적한 상태 유지 |
3일째에는 CO₂, PM2.5, TVOC 모든 항목이 안정권에 진입했습니다.
특히 미세먼지는 9㎍/㎥까지 떨어져, 청소 전보다 약 66% 감소했습니다.
이 수치는 공기청정기를 켜지 않고 얻은 결과입니다.
즉, 하루 한 번의 체계적인 청소만으로도 실내 공기질이 꾸준히 개선된다는 사실이 데이터로 입증되었습니다.
6단계. 실내 청소 루틴의 숨은 효과 – 눈에 보이지 않는 변화
공기질 개선은 단순히 수치의 변화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청소를 지속한 3일 동안 신체적·심리적인 변화도 함께 나타났습니다.
- 아침에 일어났을 때 코와 목의 건조감이 줄었습니다.
- 거실 공기가 가볍고 냄새가 덜했습니다.
- 청소 후 공기청정기의 필터 오염도가 눈에 띄게 낮아졌습니다.
- 작업 집중도가 올라가고, 오후 피로감이 줄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기분이 아니라, 미세먼지와 VOC가 줄어들면서 호흡 환경이 실제로 개선된 결과였습니다.
특히 물걸레 청소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습니다.
진공청소기만 사용할 경우 오히려 먼지가 공기 중에 재비산되지만, 습식 청소는 공기 중 입자를 붙잡아 완전히 제거했습니다.
7단계. 하루 한 번 실내 청소 루틴 요약
공기질을 바꾸는 청소 루틴은 복잡하지 않습니다.
다음 세 단계를 기억하시면 됩니다.
- 먼지 제거 – 카펫, 소파 밑, 선반 위를 꼼꼼히 청소합니다.
- 물청소 – 식초수를 사용해 표면 먼지를 닦아줍니다.
- 환기 – 청소 후 반드시 10분 이상 공기를 순환시킵니다.
이 순서를 매일 한 번만 유지하면 하루 만에 공기질이 달라지고, 3일 후에는 눈으로 보이지 않아도 ‘맑은 공기’가 느껴질 것입니다.
결론
공기질 개선은 고가의 공기청정기나 첨단 기술의 영역이 아닙니다.
매일 반복되는 하루 한 번의 청소 루틴이 가장 강력한 공기 정화 습관입니다.
실험 결과 CO₂ 27%, PM2.5 59%, VOC 45%가 감소했으며, 청소를 꾸준히 반복하면 이 수치는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결국, 깨끗한 공기는 눈에 보이는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매일의 작은 루틴에서 만들어집니다.
하루 한 번의 청소로 집안 공기가 얼마나 달라지는지, 여러분도 직접 경험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 차이는 수치로, 그리고 호흡으로 분명히 느껴질 것입니다.
'실내 공기질 개선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실내 공기질 실시간 변화 실험 – 하루 주기별 CO₂·미세먼지 수치 공개 (0) | 2025.11.11 |
|---|---|
| 실내 공기질 개선 프로젝트 내 방의 CO₂ 수치를 낮추는 3가지 간단한 방법 (0) | 2025.11.10 |
| 실내 공기질 개선 프로젝트 공기질과 정신 건강의 관계 – 집중력 향상 실험기 (0) | 2025.11.10 |
| 실내 공기질 개선 프로젝트 집안 공기질 개선 전후 비교 (실시간 수치 데이터 포함) (0) | 2025.11.09 |
| 실내 공기질 개선 프로젝트 냄새 없는 집 만들기 프로젝트 – 실제 7일 기록 (0) | 2025.11.09 |